2차2권 170page 북분자 수정불량환산결과모지수에 대하여
이기상
2023-08-31
조회수 184
0
6
김기태2023-08-31 21:30
안녕하십니까 음.. 우선 구간당 전후2포기 총5포기를 표본구간으로 선정한다라는 뜻을 알고 있듯이 살아있는 결과모지를 구할 때 표본구간 살아있는결과모지수 합계 ÷(표본구간×5포기) 로 하는건 알고 계신거처럼, 수정불량고사결과모지수도 포기당 몇개 있는지를 산정해야 피해율이 나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살아있는 결과모지수를 구할 때 처럼 표본구간수정불량고사결과모지수÷(표본구간×5포기) 로 산정해야하는거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이해가 안된다면, 3회 모의고사 복분자 강의를 보시면 이해가 쉬우실거 같습니다 ㅎㅎ..
그렇기 때문에 살아있는 결과모지수를 구할 때 처럼 표본구간수정불량고사결과모지수÷(표본구간×5포기) 로 산정해야하는거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이해가 안된다면, 3회 모의고사 복분자 강의를 보시면 이해가 쉬우실거 같습니다 ㅎㅎ..
이기상2023-08-31 21:52
살아있는결과모지수와 수정불량결과모지수는 표본구간 포기수가 다릅니다.
살아있는결과모지수는 1구간 5포기고, 수정불량은 1구간 1포기입니다.
그래서 살아있는..은 표본구간이라고 하고 수정불량은 표본포기라고 합니다.
두 모지수는 서로 다른데 왜 같은 방식으로 계산을 하는냐고 질문하는 것입니다.
살아있는결과모지수는 1구간 5포기고, 수정불량은 1구간 1포기입니다.
그래서 살아있는..은 표본구간이라고 하고 수정불량은 표본포기라고 합니다.
두 모지수는 서로 다른데 왜 같은 방식으로 계산을 하는냐고 질문하는 것입니다.
김기태2023-08-31 22:01
혹시 2-2 이론서 별표 p309 보셨나요?
별표 산식에 보면 표본구간수정불량고사결과모지수의 합÷(표본구간수×5)로 되어있습니다.
또한 수정불량고사결과모지수는 1포기로 말씀하시는 부분이 이론서에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별표 산식에 보면 표본구간수정불량고사결과모지수의 합÷(표본구간수×5)로 되어있습니다.
또한 수정불량고사결과모지수는 1포기로 말씀하시는 부분이 이론서에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이기상2023-08-31 22:17
저도 방금 별표서식을 봤는데 그렇게 나와 있네요
계속 그렇게 계산을 해 오기는 했습니다. 계산은 50포기로 하면서 의문은 계속 남아 있었죠....
이론서 102page에 수정불량피해율조사시 표본구간이 아닌 표본포기에서 6송이를 선정하는것 하고 헷갈렸나 싶기도 하고...
어쨋든 김기태씨 감사합니다. 신경 써 주시어...
교수님! 한말씀 하시지요?
계속 그렇게 계산을 해 오기는 했습니다. 계산은 50포기로 하면서 의문은 계속 남아 있었죠....
이론서 102page에 수정불량피해율조사시 표본구간이 아닌 표본포기에서 6송이를 선정하는것 하고 헷갈렸나 싶기도 하고...
어쨋든 김기태씨 감사합니다. 신경 써 주시어...
교수님! 한말씀 하시지요?
김기태2023-08-31 22:27
저도 복분자가 어려워서 이해 하려고 많이 노력했습니다. 아직은 부족하지만, 교수님 내주신 문제나 이론서 많이 보고 본문기준과 별표기준 연습을 많이 했습니다.
이제 곧 시험이니 조금만 더 힘내십시요!
그리고 3월~4월 강의에 복분자 강의 내용 보시면 교수님 정말 많이 강조하셨습니다...ㅎㅎ
이제 곧 시험이니 조금만 더 힘내십시요!
그리고 3월~4월 강의에 복분자 강의 내용 보시면 교수님 정말 많이 강조하셨습니다...ㅎㅎ
한종찬교수2023-08-31 22:23
수정불량환산고사결과모지수의 산정방법이 2가지가 있습니다.
본문기준으로는 기준살아있는 결과모지수 × 수정불량환산계수를 곱하여 산출하는 방법과
별표산식의 기준으로는 수정불량고사결과모지수 합계 ÷ 포기수 로 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각 수정불량고사결과모지수 = 각 표본구간 의 살아있는 결과모지수 × 각 표본포기 수정불량환산계수
각 수정불량고사결과모지수의 합계를 포기수(표본구간수 × 5)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이는 각 구간의 수정불량고사결과모지수의 합계 이므로 포기수는 구간수 × 5포기가 됩니다
내일모레 시험인데 이제야 이런거 질문해도 될란가 싶지만..
복분자의 살아있는결과모지수를 구할때는 각구간이 선정한 표본포기 전후 2포기씩 추가하여 5포기를 표본구간으로 선정하기때문에
표본포기가 10개면 각표본표기 구간당 5개씩하여 50포기가 되는데..
수정불량환산고사결과모지수를 구할때는 선정된 표본포기가 10개면 표본포기수는 10개 아닙니까?
그래서 "수정불량환산고사결과모지수= 수정불량고사결과모지수 합계/10포기" 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2차2권 171page를 보면
(기준)살아있는 결과모지수=400개/50포기=8개
수정불량환산고사결과모지수=160개/50포기=3.2개로 되어 있는데..
=>160/10포기=16개로 되어야 맞지않나 싶습니다만..